제주책방•제주사랑방 활성화방안 모색 워크숍 참가자 모집 안내
Ⅰ. 행사안내
목적
○제주책방 및 제주사랑방 자력 운영 주체 발굴
○원도심 공유공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발굴
행사개요
○주최·주관 :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지원센터
○일 시 : 2021. 6. 29.(화) 14:30~17:30
○장 소 : 상생모루 2층 교육마당
○신청기간 : 2021. 6. 1.(화) ~ 6. 18.(금) 18:00까지
○신청방법 :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제출(sungan@jejuregen.org)
※신청서는 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관련 게시물 첨부파일 내려받기
○참가자선정 : 약 30명
- 제주도내 인문, 문화, 예술, 청년 관련 단체 및 개인
- 참가신청서 서류심사를 거쳐 참가자 선정
※워크숍 참가자는 ‘주체양성 및 활성화프로그램 공모’ 자격부여
○문 의 :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재생지원팀 (064-727-0619)
행사 프로그램
시간 |
프로그램 |
비고 |
14:00~14:05 |
인사말 |
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장 |
14:05~14:20 |
참가자 자기소개 |
|
14:20~14:50 |
워크숍 수행 과제 설명 |
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|
14:50~15:00 |
휴식 |
|
15:00~15:50 |
과제1. 주체양성 공모 및 운영 방식 제안 |
참가자 |
15:50~16:00 |
휴식 |
|
16:00~16:50 |
과제2. 프로그램 발굴 및 제안 |
참가자 |
16:50~17:00 |
마무리 |
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|
기대효과
○제주책방 및 제주사랑방 운영 주체 발굴로 자력재생 기반 마련
○공유공간의 정체성 구축과 프로그램 운영으로 원도심 활성화 견인
○핵심 프로그램 개발로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수익 기반 마련
Ⅱ. 워크숍 사전 자료
1. 제주책방•제주사랑방 운영 현황
제주책방 및 제주사랑 공유공간 운영
○ 매일 12:00~20:00, 8시간 개방 운영 (설, 추석 연휴 휴관)
○ 제주책방은 제주도서 및 자료 열람, 제주사랑방은 대관 중심 운영
○ 센터 차원에서 부정기적 프로그램 운영
○ 코로나19 상황으로 이용자 수 제한 등 축소 운영 중
주민참여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
○ 2019년
- 제주책방 및 제주사랑방 시범운영(’19.04) 및 본격운영(‘19.07)
- 원도심 사진강좌 운영(8강)
- 기억저장소 자료기증 캠페인 운영(1회)
- 원도심 전통건축문화 체험교육 운영 : 제주건축문화 이론, 돌담쌓기 실기(7강)
- 원도심 가문잔치 재현 체험 프로그램 운영(1회)
- 제주시 원도심 시민강좌 운영(7강)
○ 2020년
- 인문학강좌 운영(10강)
- 가드닝프로그램 운영(7강) 및 결과물 전시회(1회)
- 고택단청 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(4강)
- 돌담쌓기교육 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(10강)
○ 운영성과
-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인식 확산에 기여
- 제주 인문, 역사, 문화 등과 연계성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- 주민참여에 의한 제주책방 담장 돌담 조성, 건물 외관 전통오일스텐 전통칠 정비
○ 개선점
- 지속 가능한 공간 운영 및 공간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.
향후 계획
○ ’21. 05.~08. : 주체양성 및 지원프로그램 운영(공모)
○ ’21. 09.~12. : 1) 공유공간 관리 전환 : 공모선정 주체 운영
2) 시범 프로그램 운영
2. 워크숍 수행 과제
과제1 : 주체양성 공모 및 공유공간 운영 방식 제안
○ 주체양성 공모
- 취지 : 제주책방•제주사랑방 자력운영 주체 발굴
- 지원사항 : 예산지원
- 수행역할 : 공유공간 관리 운영 및 시범 프로그램 운영
○ 공유공간 운영방식
- 매일 12:00~20:00, 8시간 개방 운영 (설, 추석 연휴 휴관)
- 제주책방은 제주도서 및 자료 열람, 제주사랑방은 대관 중심 운영
- 매뉴얼 : 활동조건, 활동지원, 역할과 업무, 인력운용 등에 관한 규칙 공동 제정
- 공유공간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기준으로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
과제2 : 주민참여 공유공간 활성화 프로그램 발굴 및 제안
○ 주인이 있는 공간으로 바뀌어야 함 ※점유의 개념과는 다름
○ 가까이 사는 주민들이 함께 활용하고 관리하는 공유공간이었음 하는 희망
○ 제주책방 정체성(주택, 집), 그 철학과 내용이 들어간 프로그램 이름 찾기
○ 프로그램 기획시 인문학적 점검, 방향성에 대한 공유
○ 주택에 맞는 공간구성과 콘텐츠 발굴